기사등록 : 2022-07-12 15:22
[서울=뉴스핌] 김신정 기자 = 윤석열 정부가 신한울 3·4호기 건설을 오는 2024년 재개하기로 하면서 원자력 발전(원전)업계는 사업 재개를 위한 준비에 들어갔다. 그동안 중단됐던 원자력 사업이 '본 궤도'에 오르기까지 적잖은 시간이 걸리겠지만 윤 정부의 원자력 사업 비중 확대에 거는 기대는 크다.
12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이창양 산업부 장관은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원전 사업 내용 등 이 담긴 '새 정부 산업통상자원 정책방향'을 윤석열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당초 오는 2025년으로 알려진 신한울 3·4호기 공사 재개 시점을 1년 여 앞당겼다. 신한울 3·4호기 건설용 일감을 올해 1300억원 주문하는 데 이어 내년 초까지 사전제작 물량 주문을 마무리하고 주계약은 내년 7월에 맺기로 했다. 아울러 원자력 발전 비중을 30%까지 확대하고 오는 2030년까지 원전 10기를 수출한다는 계획도 세웠다.그동안 전(前) 정부의 원전 비중 감소로 침체돼 있던 원전업계는 이번 새정부 정책으로 일감 조기 창출과 원전 수출 등에 대한 큰 기대감을 드러냈다. 원전업계 한 관계자는 "곧 이뤄질 원전 공사 재개 시점을 기다리고 있다"며 "특히 일감이 없었던 협력업체들에 희소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새 정책 추진 과정에 적잖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면서 업계 안팎에선 그동안 '체력이 저하'된 원자력 업계가 정부 정책에 보조를 맞출 수 있을까라는 우려도 나온다. 그동안 인력 유출이 많았던데다, 관련 기술 개발에도 그렇다할 투자를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원전업계 또 다른 관계자는 "몇년 간 원자력 사업 비중이 줄면서 일감이 없어지자 관련 종사자들의 이탈이 많았다"며 "이런 여파로 대학교 원자력 발전 전공자들도 확연히 줄어 엔지니어 배출과 채용에 어려움이 생기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있었다"고 토로했다.
산업부는 이런 상황을 고려해 앞서 지난 5월 올해 925억원 규모의 원전 일감을 긴급 발주하는 등 오는 2025년까지 1조원 이상의 일감을 제공하는 '원전산업 협력업체 지원대책'을 발표하기도 했다. 특히 올해 일감을 기존보다 400억원 가량 더 늘린 1300억원으로 책정하고 맞춤형 원전 수주전략도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원전업계 관계자는 "일단 신한울 3,4기 건설이 재기 되면 업계 분위기는 달라질 것으로 기대된다"며 "이에 맞춰 기술력 향상은 물론 인력양성에도 힘쓰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az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