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핌] 이경태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끊임없이 나타나는 가운데 '코로나 약자'로 불리는 1인 가구와 장애인들이 여전히 소외받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축소된 지원금 정책 역시 이들에게는 상대적으로 큰 악재로 꼽힌다.
3일 질병청에 따르면 지난달 16일 신규 확진자가 62만1328명으로 최다 수준을 보인 이후 20만명대까지 확진자수가 감소하는 등 소강상태를 보이고 있다.
방역당국 역시 지난 1일 거리두기 제한을 '사적모임인원 10명, 영업제한시간 자정'으로 완화하며 사실상 코로나 정점이 지났다는 평가도 들린다.그러나 코로나 사태로 일부 계층은 확진과 동시에 곤란한 상황에 처할 수밖에 없다. 이런 '코로나 약자'로는 1인 가구와 장애인이 꼽힌다.
1인 가구의 경우, 확진과 함께 단독 격리 처지가 된다. 1인 가구로 살고 있는 황모(34)씨는 "최근 코로나 확진으로 일주일동안 자가격리를 해야 하는데 그나마 처방약은 퀵 서비스로 받을 수 있으나 여전히 어려움이 많았다"며 "배달 음식으로 살아야 할 뿐더러 증세가 악화되는 초기 3일 가량은 어떻게 되는 것은 아닌가 할 정도로 불안했다"고 전했다.
장애인 역시 비슷한 신세다. 하반신을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하는 장애인 김모(44)씨는 확진으로 자가격리된 상태에서 음식을 하다 화상을 입기도 했다. 김씨는 "감염 위험 때문에 화상 치료도 제대로 받지 못하고 격리 생활도 더 어려워 하루하루가 지옥같았다"고 울분을 토했다.
코로나19가 확산되는 초기 시기에도 1인 가구나 장애인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았으나 여전히 방역 사각지대가 나타나고 있다는 비난에서 정부가 피할 수 없는 모습이다.
더구나 최근 줄어든 코로나 지원금도 이들에게는 악재가 됐다. 지난달 16일부터 코로나 지원금은 1인 최대 10만원밖에 받지 못한다.
한 시민은 "혼자 살거나 장애를 가진 사람이 코로나에 확진돼 격리될 때는 오히려 비용이 더 발생할 수 있다"며 "혼자서 해결해야 하기 때문에 배달로 소비하는 비용이 늘고 삶의 질이 상대적으로 너 나빠질 수 있다"고 전했다.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장애인의 경우, 여전히 사회적인 인식이 개선되지 않아 격리자에 대한 대우가 좋다고 보기 힘들다"며 "최근에는 정당 대표가 장애인에 대해서 갈라치기 언행을 보이는 등 정치권이 달라지지 않는다면 정책도 개선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biggerthanseoul@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