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1-10-15 10:43
[서울=뉴스핌] 조재완 기자 = 코로나19 팬데믹 장기화 속 자금난에 시달리는 벤처기업들이 신용보증기금 내규 탓에 후속투자를 받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유동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신용보증기금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벤처캐피탈 신규 투자금액 중 기존 투자업체에 후속투자한 비중은 지난해 기준 66%에 그쳤다. 투자시장이 활성화된 미국(92%)에 비하면 턱없이 낮다.
실제 신용보증기금은 민간 또는 모태펀드 등으로부터 선투자 받은 창업기업에 한해 제한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설립 7년 이내인 기업 중 ▲선투자 유치금액이 3억원 이하인 기업 ▲선투자 유치금액이 3억원 초과 10억원 이하이면서 2년 이상 투자 받지 못한 기업에 한해 후속투자 여부를 심사한다.
유동수 의원은 "엔젤투자를 받은 창업기업이 상당기간 후속투자를 받지 못해 신보에 투자요청해도 내규 상에 제한이 있어 투자심사조차 받지 못한다"며 "창업자금이 소진돼 데스밸리에 직면한 창업초기기업들을 고려해 중복투자와 후속투자는 엄연히 구분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chojw@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