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1-10-11 08:00
[서울=뉴스핌] 조재완 기자 = 더불어민주당 최종 대선후보가 확정됨에 따라 선거대책위원회 구성 작업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당 지도부는 선대위 인선작업에 착수하는 동시에, 이 후보와 도지사직 사퇴 시점 등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이재명 경기지사는 10일 민주당 전국순회경선 마지막 지역인 서울 경선을 끝으로 대선 최종후보로 선출됐다.
당 지도부도 선대위 출범 작업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당무위원회는 지난 8일 선대위 구성과 관련된 권한을 지도부에 위임하는 안을 의결했다. 최종후보가 확정대는 대로 당과 후보자가 선대위 출범시기 등을 구체적 논의키로 했다.다만 실제 선대위 출범까진 일정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경선에서 탈락한 후보들이 선대위원장직을 수락하는 등 이른바 '원팀' 체제로 정비할 시간이 필요한 데다, 이 후보의 지사직 사퇴시점도 조율해야 한다.
후보의 사퇴시점을 두고선 내부서도 의견이 분분하다. 공직선거법상 사퇴시한은 12월 9일이다. 두 달 가까운 시간이 남았지만, 문제는 선거운동이다. 도지사직을 유지하는 한 선거운동 운신 폭이 좁은 탓이다.
이 후보 측 관계자는 기자와 만나 "주변 참모들은 이 후보가 빨리 사퇴한 뒤 본선 준비에 들어가길 권하지만, 후보 본인이 11월~12월께 사퇴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그는 "정무적 판단도 하지 않을 수 없다"며 "야권이 연일 '대장동' 공세를 펼치는데 여기 대응하려면 후보가 사퇴를 빨리해서 좋을 것도 없다"고 봤다.
또 다른 관계자는 "이 후보가 국감을 마치지 않고 사퇴하는 데 대해 여론 시선이 곱지 않을 수도 있다"며 "당분간 직을 유지하되 선거운동과 선대위 구성 등은 추가논의를 해봐야 한다"고 했다.
일단 선대위를 먼저 띄운 뒤 규모를 점차 키워나가는 방안도 거론된다.
다른 관계자는 "1차 선대위를 띄운 뒤 NY(이낙연)·SK(정세균)계 인사들이 적절한 시점에 합류해 선대위 규모를 2·3차 점진적으로 확대해나갈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chojw@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