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1-09-16 16:44
[서울=뉴스핌] 최유리 기자 = 내년 3월까지 연장한 소상공인·중소기업 대상 금융지원 조치 중 1조7000억원 규모가 회수 위험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금융당국은 금융권에서 충당금을 충분히 적립하고 있어 부실관리가 가능하다는 판단이다.
16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7월 말 기준 만기연장‧상환유예된 대출 잔액은 120조7000억원(재연장에 따른 중복집계 제외)이다. 만기연장 104조1000억원, 원금 상환유예 11조3000억원, 이자 상환유예 5조2000억원 등으로 전체 중소법인‧개인사업자 대출잔액(1243조원)의 10% 수준이다.
다만 금융권이 충당금을 충분히 적립하고 있는 만큼 부실관리가 가능하다는 게 금융위의 판단이다. 국내은행의 대손충당금적립비율은 지난 6월 말 기준 155.1%를 기록했다.
이자상환 유예가 금융기관의 부실로 이어질 가능성도 낮다고 내다봤다. 이자 상환유예의 경우 담보‧보증 비율이 90%로 충분한 담보·보증을 확보했고 차주의 신용수준 등을 심사해 실행한 대출이라는 이유에서다. 이자 유예 기간에도 카드 사용액, 휴‧폐업 여부 등을 모니터링 하는 등 사후관리를 실행하고 있다.
이 국장은 "'질서 있는 정상화'를 통해 중기·소상공인의 조기상환을 돕고 취약 차주에 대해서는 선제적으로 지원해 내년 3월 이후 추가연장 필요성이 최소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yrcho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