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뉴스 정치

美 법무차관보 "북한, 해커에 피난처 제공하고 있어...압박 나서야"

기사등록 : 2021-06-17 08:46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북한·중국·러시아·이란, 해커 이용해 이득 취해"

[서울=뉴스핌] 송기욱 기자 = 미 법무부 국가안보 담당 차관보가 북한을 해커집단에게 피난처를 제공하는 나라로 지목하고 이들에 대한 압박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17일 미국의소리(VOA)방송에 따르면 존 디머스 미 법무부 국가안보 담당 차관보는 16일 사이버 보안 전문매체 '사이버스쿱'이 개최한 토론회에서 북한을 러시아, 중국, 이란과 함께 사이버 범죄자들에게 피난처를 제공하는 나라로 지목했다.

[사진=게티이미지]

디머스 차관보는 "자국 내에서 이들의 범죄적 해킹활동을 용인하는 정부들이 문제"라면서 "정부는 이 해커를 이용해 자신들이 관심있는 분야에서 이득을 취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해커들이 러시아나 중국인 피해자를 겨냥하지 않고 그들의 재능을 정부를 돕는 데 사용할 때, 이들 국가는 해킹범죄를 모른 척할 것"이라며 "이럴 경우 문제 해결은 매우 어려워진다"고 지적했다.

디머스 차관보는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유럽, 아시아 등 같은 생각을 가진 국가들이 압박을 가해 러시아 등 해당 국가가 해킹 행위를 막도록 최소한의 노력을 기울이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디머스 차관보는 또 랜섬웨어 해킹 범죄자들에게 일종의 몸값을 지불하는 것에 신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해커들에게 지불하는 몸값이 그들의 풍요로운 생활을 도울 뿐만 아니라 다음 공격을 위해 너 나은 도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범죄 활동에 자금을 대는 것과 같다는 주장이다.

그러면서 랜섬웨어 공격에 대비해 시스템을 미리 복사하는 백업 작업을 해 두고 네트워크를 세분화하는 등의 에방책을 마련할 것을 권고했다.

랜섬웨어 공격은 특정 기관의 시스템에 무단으로 침입해 정보를 암호화한 뒤 이를 풀어주는 대가로 돈을 요구하는 사이버 범죄다.

북한의 해킹 그룹 '라자루스'는 지난 2017년 150개국에서 컴퓨터 30여만대를 감염시킨 '워너크라이' 공격의 주범으로 지목된 바 있는데, 이들은 북한 정찰총국의 통제를 받고 있는 조직으로 알려졌다.

oneway@newspim.com

히든스테이지
22대 국회의원 인물DB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