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핌] 최온정 기자 = 정부가 2025년까지 전기차 전문정비소를 3300개 확충하고 수소차 검사소도 내년까지 2배 이상 늘리기로 했다. 최근 충전 중 화재, 배터리 대규모 리콜 등 친환경차의 안전성 문제가 불거지자 대응책을 마련한 것이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제7차 혁신성장 BIG3 추진회의'를 주재하고 이같은 내용을 담은 안건을 논의했다. BIG3란 차세대 유망산업인 미래차와 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산업을 뜻하는 말이다.
구체적으로 그는 "전기차 핵심부품인 배터리 안전성 시험항목을 대폭 확대(7개 → 11개)하고, 충돌안전성 평가대상에 전기차(4종) 추가하며, 수소버스 제작·안전기준을 신설하는 등 차량 안전성을 대폭 강화한다"고 밝혔다.
이어 "친환경차 정비인프라·인력 확대를 위해 전기차 전문정비소를 2025년까지 3300개 확충(2019년 1100개)하고 자동차학과 교육과정 개편과 함께 수소차 검사소도 내년까지 2배 이상 확충(2021년 10개소→2022년 23개소)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3대 핵심소재(SiC(실리콘카바이드), GaN(질화갈륨), Ga2O3(갈륨옥사이드) 기반 차세대 전력반도체 기술개발을 집중 지원하고, 팹리스·파운드리 등 민간과의 협력을 통해 기술개발부터 웨이퍼 제조까지 국내 전(全)주기 밸류체인 조성에 주력하겠다"고 언급했다.
끝으로 그는 "방역물품에 대한 글로벌 수요 급증, 공급망 재편을 기회로 활용하기 위한 차별화된 수출전략도 시급하다"며 "금년중 K-방역 전용 수출바우처 30억원, 수출금융 100억원 등 자금지원 프로그램을 신설하고, 시험인증 전용창구 개설, 해외 인허가정보 제공 등 수출지원제도도 확충하겠다"고 말했다.
onjunge0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