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0-12-17 14:48
[전주=뉴스핌] 홍재희 기자 = 전북 전주시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에서 발생되는 바이오가스로 미래에너지인 수소에너지 생산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17일 밝혔다.
전주시와 한국환경공단, 한국수력원자력㈜, ㈜태영건설은 이날 전주시장실에서 그린뉴딜 및 수소경제도시로의 이행을 위한 '바이오가스 기반 수소 융복합 사업 추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한국환경공단과 한국수력원자력은 2800여억 원을 투입해 오는 2022년까지 40㎿ 규모의 수소 융복합 시설을 구축할 계획이다. 음식물 쓰레기를 활용한 수소 융복합 시설 구축은 국내 최초의 시도다.
시는 부지 임대 및 바이오가스 기반 융복합 사업 인허가 등 행정절차를 협조하고, 한국환경공단과 태영건설은 각각 바이오가스 생산 기술과 바이오가스 공급을 지원한다. 한국수력원자력은 이를 활용하는 역할을 맡는다.
시는 국내 최초의 수소 융복합 사업으로 수소도시 이미지 제고는 물론 수소 연료전지 개발을 통해 에너지 자립률 30%, 전력 자립률 40% 달성을 목표로 한 '에너지디자인 3040' 정책과 정부의 그린뉴딜 정책에 부응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나아가 민간 투자사업 유치에 따른 일자리 창출로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고 바이오가스의 판매를 통한 안정적인 수익 창출 등 다양한 효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기섭 자원순환과장은 "그린에너지를 핵심으로 하는 그린뉴딜에 총력을 기울일 것이다"며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친환경 에너지도시이자 수소경제 선도도시로 나아갈 수 있도록 기반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obliviat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