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0-09-13 12:00
[서울=뉴스핌] 구윤모 기자 = 국내 매출 100대 기업 대부분이 코로나19에 따른 재택근무를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13일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른 매출 100대 기업 재택근무 현황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응답 기업의 88.4%가 재택근무를 시행 중(사무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사무직의 2.9%는 '곧 시행 예정(계획 확정)'인 것으로 조사됐다. '재택근무를 시행하지 않으며, 시행 계획도 없는 사업장'은 8.7%이나, 이 중 일부 기업은 3단계 격상시 시행을 검토할 것으로 응답했다.
생산직 근로자들의 경우 직무 특성상 재택근무 시행 기업은 없었으나, 필요시 연차휴가 외 별도 유급휴가를 부여하거나 식사·휴게시간 조정, 휴게실·구내식당·통근버스 밀집도 저하 등 감염병 예방을 위한 조치를 시행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재택근무시 사무직 근로자들의 업무생산성에 대해서는 '정상근무 대비 90% 이상'이라는 평가가 절반에 가까운 높은 비중(46.8%)을 차지했다. 이 밖에 '80~89%' 응답 25.5%, '70~79%' 응답이 17.0%였으며, '70% 미만'으로 평가한 비중은 10.6%에 불과했다.
다만 이는 조사대상이 규모가 매우 큰 대기업으로 IT프로그램 활용, 업무‧성과관리 시스템 등을 통해 재택근무 생산성을 관리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고 경총은 설명했다.
재택근무제를 운영하는 기업들은 근로자들의 생산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소통 활성화를 위한 협업 툴이나 메신저 등 'IT프로그램 활용 확대(77.6%)' 방안을 가장 많이 채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근태 및 업무 진행 상황을 기록‧관리하는 프로세스 도입, 결과 중심의 성과평가 체계 강화 등의 '업무‧성과관리 시스템 강화(56.9%)' 등의 보완책을 마련한 것으로 조사됐다.
코로나 위기 상황이 해소된 이후의 재택근무 활용 여부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전망이 높게 나타났다. 응답기업의 53.2%가 '코로나19 이전보다 재택근무 활용이 확산'될 것으로 전망했으며, 33.9%는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다시 낮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재택근무 등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합하는 유연근무제가 성공적으로 정착‧확산되기 위해서는 성과중심 인사관리시스템 구축과 기업 내 커뮤니케이션 방식 개선 등이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iamky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