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0-07-28 06:19
[샌프란시스코=뉴스핌]김나래 특파원= 금 가격이 다시 사상최고치로 치솟았다. 미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세 심화에 따른 달러 가치 추락했기 때문이다. 여기에 미국과 중국간 긴장고조에 따른 불안감이 금 수요를 더 끌어올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27일(이하 현지시간)뉴욕 상품거래소에서 8월 인도분 금은 전 거래일보다 온스당 1.8%(33.50달러) 급등한 1931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지난 24일 온스당 1897.50달러로 마감해 종가 기준으로 9년 만에 역대 최고가를 기록한 데 이어 2거래일 연속 종전 기록을 갈아치웠다.물가상승률을 감안하지 않은 명목 가격을 기준으로 2011년 9월 기록한 사상최고치 1921달러를 제쳤다. 금은 올들어 25% 넘게 치솟아 주요 자산 가운데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다.
최근 이같은 금값의 상승은 코로나19에 따른 불안감, 대규모 중앙은행 양적완화(QE)와 아에따른 인플레이션(물가상승) 우려 등이 금 수요를 부추기고 있기 때문이다.
세계금협회(WGC)에 따르면 금 상장지수펀드(ETF) 순유입 규모는 올 상반기 400억달러러 사상최대를 기록한데 이어 이달 들어서도 74억달러 더 늘었다.
금은 코로나19, 미·중 긴장 고조 등 불확실성이 고조되면서 상승 흐름이 멈추지 않고 있는 점도 주목해야 한다. 코로나19는 미 남서부주를 중심으로 급속히 재확산되고 있고, 유럽에서도 스페인 등에서 재확산이 시작되면서 일부 국가들에 여행제한이 재개됐다.
인시그니어 컨설턴트의 친탄 카르나니 수석시장분석가는 "미중 간 갈등이 심해지고 미국의 하루 신규 확진자가 계속 급증한다면 금과 은 가격은 계속해서 오를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러면서 "곧이어 2000달러 벽도 매우 쉽게 깨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 달러 약세도 금 가격 급등의 배경이다. 달러 약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금값 상승이 점쳐지는 이유다. 코로나19 불안감이 미 달러 가치를 2018년 6월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뜨리면서 다른 통화 대비 금 가격이 상대적으로 하락해 금 수요를 끌어올렸다.
통상적으로 금값과 반대로 기류를 타는 달러가 약세를 보인다는 점도 금 매수를 부추기고 있다. 인베스팅닷컴의 바라니 크리슈난 선임분석가는 "미국 달러화 가치가 계속 떨어져 귀금속 가격을 더 높이 밀어 올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UBS의 귀금속 애널리스트 조니 테베스는 "실질금리가 계속 하락할 것이어서 금 가격이 앞으로 6~12개월 안에 온스당 2000달러를 찍을 수 있다"면서도 "탄탄한 경제지표가 금 상승세에 계속해서 제동을 거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ticktock0326@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