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0-04-09 13:13
[광주=뉴스핌] 조은정 기자 = 광주시는 9일 창의적이고 유연한 협업 형태를 제도화하고 시민편익 중심의 협업과제를 발굴 추진한다고 밝혔다.
시는 지난 2월부터 시행하고 있는 '협업조직문화 확산 기본계획'에 따라 △지역 내 34개 공공기관과 상시 협업체계 구축 △창의적 문제 해결 중심의 임시조직 운영 △부서 간 정책(사업) 협업팀 운영 등 3가지 협업형태를 갖추고, 체계적 점검을 통해 협업 성과를 유도해 나가기로 했다.
이 자리에서는 △인공지능 활용 노인일자리 발굴 등 복지 분야 2개 과제 △지역산업 일자리 네트워크 구축 등 산업 분야 2개 과제 △영산강 수질개선 사업 추진 등 환경·안전 분야 3개 과제 등 6개 분야 15개 협업과제를 검토하고, 상반기 중에 준비를 마친 후 추진키로 했다.
또 '문제해결형 TF'는 기존 조직으로 해결이 곤란하거나 창의적인 프로젝트 해결을 위한 임시조직으로 운영한다. 5급 이하 5명의 직원이 6개월 이내에서 프로젝트 수행에 전념하고 정책에 즉시 입안할 수 있는 보고서나 계획서를 제출하고 원소속 부서로 돌아가게 된다. 참여자는 성과에 따라 인사우대 등 인센티브가 주어진다.
대표적인 과제로는 △재난안전산업 클러스터 구축 △아이낳아 키우기 좋은 광주만들기 정책 발굴 △스마트 공장 도입 확산 △호남권 연구원간 감염병 공동 대응 방안 등이다.
시는 협업 문화가 조직 내 확산될 수 있도록 협업 진행사항을 내부 전산망을 통해 격월제로 점검하고, 하반기에는 시민들이 평가하는 협업경진대회를 열어 우수사례를 발굴, 확산해 나갈 계획이다.
이정식 시 혁신정책관은 "융복합 시대에 부서 간 또는 기관 간 칸막이는 조직을 도태시킬 수밖에 없다"며 "지난해 협업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는 시민생활에 직결되는 과제를 중점 추진해 시민 체감도를 높이겠다"고 말했다.
ej7648@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