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0-03-06 18:09
[서울=뉴스핌] 김선미 기자 = 일본 내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실제로는 공식 발표보다 훨씬 많을 것이라는 우려와 함께 일본의 소극적 진단 지침에 대해 전문가들이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고 미국 CNN이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CNN은 '바이러스의 온상'이 된 크루즈선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의 집단 감염으로 일본의 코로나19 대처법이 국제사회의 도마 위에 올랐다며, 이웃국 한국과 크게 차이 나는 검사 규모를 지적했다.
그러면서 "일본은 검사 건수가 매우 적어 확진자 수도 적을 수밖에 없다"고 꼬집었다.
비영리단체 '의료 거버넌스 연구소'의 가미 마사히로(上昌廣) 소장은 CNN에 "일본 내 확진자 공식 발표는 빙산의 일각일 뿐 실제로는 훨씬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일본 후생노동성은 "확인되지 않은 감염자가 있을 가능성은 있다"면서도 실제 감염자는 3000여명 수준일 것으로 추산한다며 니시우라 교수의 주장을 일축했다. 그러면서 검사를 원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알고 있다며, 검사 대상을 확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일본 후생노동성은 37.5도 이상 고열, 극도의 피로감, 호흡 곤란 등이 4일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만 코로나19 검사를 실시하도록 정하고 있으며, 이보다 경미한 증상이 나타나는 환자들은 자가 격리하도록 하고 있다. 고령이자 기저질환자들도 증상이 2일 이상 지속돼야 검사를 받을 수 있다.
세계보건기구(WHO) 정책 조정관을 지낸 시부야 겐지(澁谷健司) 런던 킹스칼리지 인구보건연구소장은 "검사 대상이 늘면 확진자도 그만큼 늘어날 것"이라며 "국민의 불안을 해소하려면 검사의 문턱을 낮추고 고위험군을 우선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go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