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0-02-18 14:46
[수원=뉴스핌] 최대호 기자 = 코로나19로 침체된 지역경제를 되살리기 위해 경기 수원시가 팔을 걷어붙였다.
시는 이달 초 구성돼 가동 중인 수원시 경제TF가 피해기업에 융자지원 확대와 소상공인을 위한 적극적인 시책을 마련해 시행하기로 했으며, 염태영 수원시장은 지역경제인들을 직접 만나 해법 찾기에 나섰다고 18일 밝혔다.
염 시장이 주재한 이날 간담회에는 홍지호 수원상공회의소 회장과 이기현 수원델타플렉스 이사장, 수원시전통시장연합회 대표단, 수원시소상공인연합회 대표단, 기업대표 등이 참석해 각 업계가 처한 입장과 의견을 전했다.
먼저 영동시장, 못골시장 등 전통시장 상권 대표들은 내수가 침체된 상황에서 코로나19까지 악재가 겹치면서 매출이 50~70% 가량 줄어들었다고 호소했다.
수원페이 등 지역상권을 활성화하는 방안이 더 널리 알려지고 활용될 수 있도록 적극 홍보해 줄 것을 건의했다.
기업 관계자들도 수출입은 물론 해외진출 기업들 대부분이 중국 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 가동률이 떨어지고 제대로 영업할 수 없는 현 상황을 '엎친 데 덮친 격'이라고 표현하며 대 중국 기업 활동이 위축된 현재의 여파가 1분기 이후 더 크게 나타날 것을 우려했다.
이 같은 지역 경제주체들의 어려움을 청취한 염 시장은 간담회에서 재정위기 인해 올해 9억원으로 계획됐던 소상공인 특례사업 지원액을 지난해 수준(12억원)으로 늘리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약속했다.
또 어려운 처지에 있는 소상공인들의 임대료를 동결하거나 인하하자는 타 지역 움직임에 동참하도록 건물주의 협조를 당부하면서 시도 적극 협조하겠다고 전했다.
시는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중국 관련 기업들에 대한 융자지원도 확대하기로 했다. 신규로 융자를 받는 중소기업에 대한 이자차액보전을 기존 2%에서 1% 더 늘려 3%까지 지원하고, 기존 융자기업의 상환 기일을 1년 연장해 줌으로써 피해기업의 숨통을 틔워 줄 방침이다.
특히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현재 6%인 수원페이 인센티브를 한시적으로 10%로 늘릴 수 있도록 경기도 및 정부와 지속적으로 협의를 진행 중이다.
향후 3개월간 인센티브를 확대하면 25억원 이상의 자금이 지역경제 및 상권으로 흘러드는 효과를 노릴 수 있기 때문이다.
피해기업에 지방세 납기를 6개월 연장하고 고지 유예와 분할고지, 징수유예 및 체납처분 유예, 세무조사 연기 등 지원방안도 마련했다.
염태영 시장은 "정부와 국민들이 모두 자기 역할을 충실히 하며 초기 대응이 잘 됐으나 통제에 비해 경제 여파가 오래 지속되는 측면이 있다"며 "코로나19는 수원시가 잘 대응하고, 기업 등 경제 주체들은 계획했던 사업들을 정상적으로 진행하고, 시민들은 마스크 등 개인위생을 철저히 지키며 경제활동에 주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4611c@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