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19-12-09 15:09
[서울=뉴스핌] 민경하 기자 =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기술자립도를 높이고 미래 신산업 창출에 기여할 국내 강소기업 55개사가 선정됐다. 선정 기업은 향후 5년간 연구개발(R&D)·벤처투자·사업화 자금 등 최대 182억원을 지원 받는다.
중소벤처기업부는 9일 '소재·부품·장비 강소기업 100 프로젝트(강소기업 100)' 강소기업 55개사를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강소기업 100은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소재·부품·장비 전문기업 육성 로드맵인 '스타트업 100, 강소기업 100, 특화선도기업 100 프로젝트' 중 첫 번째 시행되는 프로젝트다. 선정된 강소기업에는 빠른 기술혁신과 사업화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5년간 최대 182억원이 지원된다.이번 강소기업 100 선정에는 모두 1064개 기업이 신청해 약 19.3:1의 경쟁률을 보였으며 300개 기업이 1차 서면평가를 통과했다. 이후 2주간 외부 전문가의 현장평가와 기술평가, 산·학·연 전문가 39명으로 구성된 심층평가단의 심사를 통해 80개 기업이 후보 강소기업으로 선정됐다.
최종평가는 지난 5일 대국민 공개평가 방식으로 치러졌다. 후보 강소기업의 발표, 선정심의위원의 질의응답 등 평가과정을 모두 공개했으며, 공개모집을 통해 선발된 97명의 국민심사배심원단이 평가에 참여해 국민들의 시각이 반영될 수 있도록 했다.
분야별 최고 전문가로 구성된 '소재·부품·장비 강소기업 100 선정심의위원회'는 소재‧부품‧장비 국산화의 필요성, 미래 신산업 창출에 기여 가능성 등을 엄격하게 평가해 일정 수준 이상을 충족하는 강소기업 55개를 선정했다.
인적자원 관리 측면에서도 우수했다. 강소기업 직원의 평균 연봉은 4350만원으로 중소기업 평균(3595만원)에 비해 21% 높았으며, 평균 근속연수 또한 5.9년으로 중소기업 평균(3.0년)보다 2배 가까이 길었다.
강소기업 100은 집중 지원이 이뤄지는 만큼 엄격한 관리도 이뤄진다. 상시 모니터링과 함께 매년 사후관리를 실시하고 평가 결과가 미흡하거나 프로젝트의 계속 수행이 곤란한 경우(요건 결격, 부도‧폐업‧영업중단‧상장폐지 등) 강소기업 선정을 취소한다.
최종 후보 강소기업에 올랐으나 미선정된 25개 기업은 우수성을 인정 받은 기업인만큼 향후 3년간 중기부 R&D 지원사업에 우대 지원된다. 또한 강소기업 100의 남은 빈자리 45개는 내년 추가 공모를 통해 채울 계획이다.
김영태 중기부 기술혁신정책관은 "이번 선정된 강소기업은 공정하고 투명한 선정을 위해 국민 참여 방식으로 진행됐다"고 말했다. 또 "소재‧부품‧장비 국산화에 대한 국민적 열망을 담아 선정된 기업들이 좋은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며 "강소기업의 성장 과정도 국민이 참여해 응원할 수 있도록 국민참여 방식을 계속 이어 가겠다"고 밝혔다.
204mk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