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민수 기자 =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 격화와 미국 금리정책 기대 하회 등 초가을 펀더멘털 여건이 부정적인 흐름을 보이면서 작년 하반기 증시 불안이 재현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유진투자증권은 26일 보고서를 통해 8월 하순 국내외 증시 여건이 모두 불안정하다고 지적했다.
이상재 유진투자증권 이코노미스트는 “국내적으로는 두 자릿수 수출 감소가 지속되는 가운데 일본의 수출규제까지 가세했다”며 “대외적으로는 미국 장단기 국채금리 역전 형상과 함께 미·중 무역분쟁까지 재점화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앞서 지난 23일 중국 국무원은 농산물, 원유 등 미국산 제품 750억 달러 규모 5000여개 품목에 대해 9월1일과 12일15일 5~10% 추가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역시 중국의 추가 관세 부과를 강력히 비난하면서 9월1일과 12월15일 부과 예정이던 1200억 달러, 180억 달러 제품에 대한 관세율을 각각 10%에서 15%로, 기존 25%로 부과했던 250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 관세율도 10월1일부터 30%로 인상하기로 결정했다.
이 이코노미스트는 “작년 하반기 이후 세계 경제는 제조업 중심으로 높아진 경기침체 압력에 직면하고 있다”며 “무역 분쟁이 지속되면서 미국과 중국 모두 전체 수출이 감소세로 돌아서고, 제조업 경기가 퇴조 일로에 위치하는 등 부진이 이어지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파월 의장은 지난 23일 잭슨홀 컨퍼런스 연설에서 ‘경제 확정세 유지를 위해 적절하게 행동하겠다’’는 기존 스탠스를 유지했다”며 “결과적으로 트럼프 대통령 및 시장 일각에서 제기한 ‘미국 경제를 위해 무엇이든 하겠다’는 기대에 미치지 못한 셈”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는 7월 금리 인하 이후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최대 50bp(1bp=0.01%) 금리인하에 나설 수 있다는 전망과 대비되는 움직임”이라며 “금리 동결과 50bp 인하의 양극단 시각이 넓게 형성된 가운데 일단 25bp 인하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는 시각을 유지한다”고 덧붙였다.
mkim0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