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19-06-28 15:05
[서울=뉴스핌] 이서영 기자 = 윤소하 정의당 원내대표는 28일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사법개혁특별위원회 활동 기한을 연장한다는 여야 교섭단체 3당의 ‘원포인트 합의’에 대해 배신의 정치로 빠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윤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 본회의에 참석해 “오늘 교섭단체 3당 간 합의가 국회 정상화의 완전한 합의라 여겼지만 합의문을 살펴보니 특위의 위원 수와 구성을 변경하고 심지어 위원장까지 교체한 것을 보고 경악을 금치 못했다”며 이 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사전 합의는 아니더라도 협의는 해야 하는 것 아니냐, 그것이 정치의 도리 아니냐”며 “그래놓고 무슨 합의 정신과 협치를 얘기하느냐”고 비판했다.
윤 원내대표는 이어 “여기가 3개 교섭단체 당만 존재하는 국회냐”며 “이번 교섭단체 합의에 심각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다”고 거듭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현재 정개특위 위원장은 심상정 정의당 의원으로, 여야 교섭단체간의 일방적 결정에 대해 불편한 심기를 드러낸 상태다.
실제로 여영국 정의당 원내대변인은 합의 직후 정론관에서 브리핑을 통해 “오늘 교섭단체 3당은 정개특위와 사개특위 연장, 오늘(28일) 본회의 등에 합의했지만, 결과적으로 정개특위 심상정 위원장 교체를 위한 것에 불과했다”며 “정의당에게 어떠한 사전협의도 없이 벌어진 일”이라고 지적했다.
여 원내대변인은 “정개특위 위원장 교체만 결과로 남은 합의다”며 “정개특위와 사개특위 연장을 오늘 본회의 표결에 부친다고는 하나 특위 위원장 중 한 자리는 수구세력의 손에 넘어가게 됐다”고 했다.
이어 “국회 정상화가 이뤄진 것도 아니고 일자리와 재해 추경을 위한 예결특위와 관련해서도 조율된 것이 없다”며 “심상정 교체만 남은 퇴행적 결과”라고 했다.
한편 정의당의 이 같은 반응은 예상된 결과지만, 정의당으로서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고 보는 입장도 있다.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는 합의문 발표 이후 정의당이 크게 반발할 것이라는 기자들 의견에 “정의당으로서는 비교섭단체이고 사실상 이것이 국회가 정상적으로 돌아가는 방법이기 때문에 아쉬움은 있지만 국회 전체의 질서를 따라줄거라 믿는다”고 말한 바 있다.
jellyfis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