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19-05-31 16:40
[서울=뉴스핌] 성상우 기자 = 5G 시장 조기 활성화와 기업들의 글로벌 진출 방안에 대한 논의에 속도가 붙게 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를 비롯한 관계 정부부처에 민간부문 전문가들이 합세한 '5G플러스(+) 전략 실무위원회가 본격 출범했다.
정부는 지난 4월 8일 발표한 ‘5G+ 전략’의 범국가적 추진체계를 구축하고 체계적이고 속도감 있는 추진을 위해 범부처 민‧관 합동 ‘5G+ 실무위원회’(이하 ‘실무위원회’)를 구성하고 31일에 첫 위원회를 개최한다고 이날 밝혔다.
실무위원회는 과기정통부 민원기 제2차관을 위원장으로 하고 10개 관계부처 담당 실‧국장과 민간위원 18명이 포함, 총 29명으로 구성됐다. 민간위원은 통신사 및 제조사 임원을 비롯해 5G+ 전략산업 분야별 중소‧중견기업 대표들로 구성됐다. 위원회는 5G+ 전략산업 육성 등 5G+ 전략의 효과적인 실행방안을 논의해 나갈 예정이다.이날 비공개로 개최된 제1차 실무위원회에선 정부의 ‘5G+ 전략 실행계획(안)’에 대한 안건 보고를 통해 ’19년 하반기 주요계획(안)과 5G+ 전략산업 추진계획(안)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산업분야별 업계 전문가 의견과 5G 기반 신사업 추진 애로사항도 논의됐다. 아울러, 5G 시장의 조기 활성화와 글로벌 진출 방안도 지속 강구해 나가기로 했다.
△5G 콘텐츠 플래그십 프로젝트 확대 △입체 실감콘텐츠 제작 인프라 구축 △5G 기반 스마트공장 핵심기술 실증 등 올해 추경 예산 확보에도 만전을 기할 예정이다.
이날 참석한 민원기 과기정통부 제2차관은 “5G 시장의 글로벌 퍼스트무버가 되겠다는 공동의 목표를 가지고 10개 부처와 다양한 분야 업계 전문가들이 함께 논의할 수 있는 장이 마련되었다는 점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라며 “이번 실무위원회 구성을 계기로 민‧관이 기술‧시장의 빠른 변화에 공동 대응하고 5G 기반 신산업 육성에 속도를 낼 수 있도록 모든 정책적 방안을 강구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swseo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