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19-05-31 16:34
[서울=뉴스핌] 백진규 김지완 기자 = 기준금리 인하 소수의견이 나오면서 연내 금리인하 가능성에 더욱 무게가 실리고 있다. 다수 전문가들은 4분기 금리인하를 점쳤다.
31일 한국은행은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를 열고 기준금리를 기존 연 1.75%로 동결한다고 밝혔다. 시장 전망과 일치한 결과다.
7명의 금통위원 중 조동철 위원이 단독으로 기준금리 0.25%포인트(p) 인하 의견을 냈다. 지난해 11월 기준금리를 인상한 이래 처음으로 소수의견이 나온 것이다. 조 위원은 앞서 인플레이션 둔화 우려를 언급했고, 시장 전문가들은 사실상 기준금리 인하 목소리를 낸 것으로 분석해 왔다.이주열 한은 총재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소수의견은 소수의견일 뿐"이라며 금리인하 기대감을 경계했다. 경기둔화 우려를 설명하면서도 "기준금리 인하로 대응할 상황은 아니다"고 밝혔다. 또한 가계부채가 GDP의 100%에 해당하는 수준까지 높아진 점을 언급하기도 했다.
이에 시장 전문가들의 의견도 엇갈리고 있다. 다수 기관들은 연내 금리인하를 전망했으나, 연내 동결 의견도 나온다.
공동락 대신증권 연구원은 "4분기 금리인하 뷰를 유지한다"며 "최근 가파르게 채권 금리가 낮아진 점을 감안해, 공격적인 추격매수 보다는 조정 시 매수를 권고한다"고 밝혔다.
이미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3분기 기준금리 인하를 전망했다. 이 연구원은 "소수의견이 확인되고 이날 국고 30년 금리도 기준금리 이하로 떨어졌다"며 "미중갈등 장기화, 하반기 글로벌 경기둔화 압력 확대 등을 감안해 금리인하 예상시점을 기존 4분기에서 3분기로 앞당긴다"고 밝혔다.
반면 NH선물은 연내 기준금리 동결을 언급했다. 허정인 NH선물 연구원은 "기준금리를 밑도는 시장금리는 지속 가능성이 낮다"며 3분기 이후 시장금리의 완만한 반등을 점쳤다. 허 연구원은 "조동철 위원의 소수의견은 기준금리 인하 시그널보다는 금통위 내 견해 차 확대 정도로 해석해야 한다"며 "한은은 선제적인 인하보다는 미중 무역갈등 상황을 주시할 것"으로 봤다.
한편, 이주열 총재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미중 무역분쟁 심화 등 전망 불확실성이 커졌으나, 우리나라는 향후 수출개선 등에 힘입어 전망치에 부합하는 성장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4월 한국은행은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2.5%로 낮춘 바 있다.
bjgchin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