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19-05-29 12:26
[서울=뉴스핌] 조정한 기자 = 위정현 한국게임학회장은 29일 "국무조정실이 '게임 질병 코드' 관련 직접 컨트롤타워를 하겠다는 제안에 대해선 환영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국방부·중소벤처기업부 등 게임 관련 심각한 이슈가 발생할 수 있다며 민관협의체를 적극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위 회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게임질병코드 도입 반대를 위한 공동대책준비위원회(이하 공대위)' 기자간담회에서 "질병 코드가 도입되면, (앞서 총기사고 등을 게임과 관련 짓는 사례로 볼 때) 국방부에서 심각한 이슈가 나올 것으로 보고 있다"며 "중기부 또한 게임 스타트업 관련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에 대해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한 위 회장은 파워블로거를 기반으로 한 '게임스파르타 300인 조직'과 '범국민 게임 촛불운동' 계획에 대해 "조직된 300인이 주도적으로 촛불운동을 하고, 향후엔 더 많은 수가 모일 것으로 본다"며 "'촛불 운동'을 오프라인 상에서 하겠다는 것보다 온라인상에서 먼저 그런 운동을 펼쳐 국민들을 설득하겠다. 그런 의미로 받아들여 달라"고 덧붙였다.
또한 사회적 합의가 없는 '게임 질병 코드' 국내 분류 시 '법적대응'을 검토하겠다는 데 대해선 변호사에게 자문받은 의견을 공개하기도 했다.
아울러 공대위는 '게임'보다 '스마트폰 과몰입 현상'이 더 심하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위 회장은 "횡단보도를 건너면서도 스마트폰을 들여다보고, 하루에도 몇 번씩 메신저를 확인하는지 모두 알 것"이라며 "국민 전체가 사용하기 때문에 문제를 삼고 있지 않지만, 게임 다음으로 '중독'의 타깃이 되는 건 '동영상 콘텐츠'가 될 것"이라고 꼬집었다.
giveit9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