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18-10-28 13:03
[서울=뉴스핌] 전선형 기자 = 다음주 증시(10월 29일~11월 2일)는 가파른 하락세에 대한 기술적 반등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망됐다. 다만 미국발 악재 등 불안요소가 여전히 잔존하고 있어 보수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2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22일부터 26일까지 코스피지수는 2156.26에서 2027.15로 129.11포인트(5.99%) 떨어졌다. 이 기간 외국인은 1조5424억원을 순매도했고, 기관과 개인은 각각 1조2618억원, 2208억원을 매수했다.
다음주 국내증시에 대해 전문가들은 불안정안 시장에서 탈피하려는 움직임을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예상 코스피 지수는 최저 1960에서 2110선이다.
김용구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다음주 국내증시는 그간의 하락일로에서 탈피해, 2100선 안착을 시도하는 중립이상의 주가흐름 전개를 예상한다”며 “통상 단기 속락 이후 주가 정상화 국면에선 낙폭과대순으로 종목간 반등탄력이 결정된다”고 말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미국 증시 하락 여파가 지속될 수 있다는 점과 당분간 상승동력이 없다는 것, 미중무역분쟁의 불안성 등이 잔존해 보수적이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병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다음달 이란경제제재, 미국 중간선거 등 이슈들에 대한 우려가 높고, 내년 기업이익에 대한 확인심리가 강해 상승 동력은 보이지 않는다”며 “분위기 반전 요인은 Fed의 완화적 코멘트, 미중 무역분쟁 완화 가능성 등을 꼽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물론 현 가격 수준에서는 언제라도 기술적 반등이 나타날 시점”이라며 “시가총액 상위 주충 가치 영역에 속하고 베타가 낮고, 개별기업 모멘텀이 존재하는 가치주 혹은 미중분쟁이슈와 무관한 성장주로 대응해야한다”고 조언했다.
inthera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