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18-08-02 15:45
[서울=뉴스핌] 노민호 기자 = ‘촛불시위 계엄령 문건·세월호 민간사찰·통화 감청’ 등 각종 의혹으로존폐 기로에 놓인 국군기무사령부 개혁안이 베일을 벗었다.
국방부 국군기무사령부 개혁위원회가 내놓은 개혁안은 ▲대통령령·기무사령 등 기무사 제도적 뒷받침 완전 폐지 ▲인원 30% 이상 감축 ▲시·도에 배치된 민간인 정보수집 부대인 '60단위 기무부대' 전면 폐지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그는 그러면서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와서 다시는 국군정보기관이 정치 개입이라거나 민간인 사찰이라거나, 군 내에서 특권 의식을 갖고 군 사기에 영향을 주는 행위는 일체 차단하기로 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장 위원장은 인원 감축과 관련, “기무사 요원은 현 인원에서 30% 이상을 감축해 정예화·전문화하고 더 높은 국방의 책임을 다하도록 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현재 4200여명에 이르는 인력은 3000여명 규모로 줄어들 전망이다.
개혁위는 또 전국 시·도에 배치돼 있는 민간인 정보수집 부대인 이른바 ‘60단위 기무부대’를 완전히 폐지하기로 했다. 현재 각 군단위로 나가 있는 기무사 말고도 10여개 정도의 60단위 부대가 운영되고 있다.
장 위원장은 “모든 개혁들이 이뤄지면 앞으로 불법적인 정치 개입이나 불법적인 민간인 사찰, 특권 의식을 갖고 군대 내에서 지휘관들의 사기를 저해하는 행위들은 근절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no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