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18-05-23 13:15
굳게 닫혀있던 중국의 빗장이 열리고 있다. 2016년 한국 정부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도입 결정 이후 중국의 한한령(限韓令·한국 문화콘텐츠 금지 조치)으로 경색됐던 양국 간 문화 교류가 지난해 말부터 해빙기에 들어섰다. 포화 상태인 한국 뮤지컬도 한한령 위기를 극복하고 중화권 시장 진출을 활발하게 모색중이다. 뉴스핌은 양국 간 활발한 뮤지컬 교류를 위해 어떤 부분의 개선이 필요한지, 주의할 점은 무엇인지 짚어보는 기획을 마련했다. [편집자주]
[서울=뉴스핌] 황수정 기자 = 지난 2016년 여름 한국 소극장 창작뮤지컬의 대표작 '빨래'가 중국 투어 도중 막을 내리면서 사드 관련 이상 징후가 감지됐다. 지난해 초에는 뮤지컬뿐만 아니라 소프라노 조수미, 피아니스트 백건우가 비자를 발급받지 못해 중국 공연을 취소해야 했고, 국립발레단 수석무용수 김지영 씨가 상하이발레단과 함께 하려던 '백조의 호수' 공연도 무산됐다.
그러나 한국 콘텐츠의 중국 진출이 단절된 상황에서도 중국 시장에서는 한국 뮤지컬 '빨래', '마이 버킷 리스트', '총각네 야채가게' 등에 대해 꾸준히 관심을 보여왔다. 앞서 투어가 중단됐던 '빨래'는 지난해 6월 다시 한번 베이징 다윈극장에서 막을 올렸다. '마이 버킷 리스트'도 지난해 8월 중국 상하이와 베이징 공연을 통해 한국 뮤지컬에 대한 관심도를 끌어올리며 한한령 완화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중국 투자사 관계자가 지난해 방한해 '벤허'를 관람한 후 관심을 보이면서 시작됐다. 이종규 인터파크 공연사업본부장은 "이번 투자 유치 성공을 계기로 한국 공연 콘텐츠 수출 및 공연 산업 전반에 걸친 합작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실 국내 뮤지컬의 한류 열풍은 일본에서부터 시작됐다. 아이돌 스타의 인기에 힘입어 2000년대 초반에는 일본 시장의 비중이 컸지만, 2014년 이후 일본 진출은 꾸준히 줄었다.
hsj121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