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박미리 기자] 국내 신용카드사들은 지난해 크게 나쁘지 않은 실적을 거뒀다. 하지만 올해는 가맹점 수수료 인하, 법정 최고금리 인하, 시중금리 상승 등으로 수익성 악화를 겪을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 순이익 증가?…"일회성 요인이 왜곡"
15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업계 1위 신한카드는 9138억원의 순이익을 거뒀다. 전년 대비 1979억원(27.6%) 증가한 것. 삼성카드와 하나카드 역시 각각 3867억원, 1064억원으로 전년보다 10.7%, 40.7% 늘어난 순이익을 올렸다.하지만 이는 일회성 요인이 반영된 결과일 뿐이다. 이를 제외하면 상황이 좋지 못했다는 것이 각 회사의 공통된 설명이다.
신한카드는 지난해 보유하던 비자카드 지분(0.1%)을 두 차례에 걸쳐 전량 매각했다. 이로인해 유입된 자금은 1800억원으로, 순이익 증가분의 대부분이다.
일회성 요인마저 없었던 카드사들은 수익성 악화가 고스란히 노출됐다. KB국민카드의 지난해 순이익은 2968억원, 우리카드는 1012억원으로 각각 전년 대비 6.4%, 7.5% 감소했다.
아직 연간 실적을 공시하지 않은 카드사도 사정은 비슷한 것으로 추정된다. 롯데카드는 지난해 3분기 누적 순이익이 399억원으로 전년 대비 55.6% 급감했다. 같은 기간 현대카드는 순이익이 1838억원으로 19.7% 늘었지만, 이 역시 세금 383억원을 돌려받은 효과가 컸다.
◆ 수수료·최고금리 ↓..조달금리 ↑
문제는 올해다. 카드사들은 올해 수익성이 크게 악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수익성 악화를 막아낸 일회성 요인이 사라지는 데다 가맹점수수료, 법정 최고금리, 조달금리 등 업계를 둘러싼 대외여건도 녹록치 않아서다.
지난해 하반기에 단행된 수수료 인하 효과가 올해는 온전히 반영된다. 정부는 영세가맹점 범위를 연매출 2억원에서 3억원 이하로, 중소가맹점을 2억~3억원에서 3억~5억원 이하로 각각 변경하고, 이들에게 우대수수료(영세 0.8%·중소 1.3%)를 적용하도록 했다. 여신금융연구소는 이 조치로 인해 줄어드는 가맹점수수료 수익이 연간 3500억원이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여기에다 오는 7월부터 편의점, 슈퍼마켓 등 소액결제가 많은 업종의 가맹점수수료율도 평균 0.3%포인트 낮아질 예정이다. 카드사 부담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 다른 수익원인 대출도 여건은 좋지 않다.카드사들은 카드론(장기), 현금서비스(단기) 등의 대출로 이자수익을 벌고 있다. 전체 영업수익의 약 10%를 차지한다.
이달부터 법정 최고금리가 연 27.9%에서 24%로 떨어졌다. 이에 따라 카드사도 대출금리를 낮춰야한다. 반면 수신 기능이 없는 카드사는 시중금리가 상승함에 따라 이전보다 비싸게 돈을 빌려와야한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일부 회사에서 일회성 요인으로 수익성이 좋았지만 전반적으로 업계는 힘들었다"며 "카드사는 신용판매라고 불리는 가맹점수수료와 대출이 수익의 두 축인데, 올해는 두 가지 모두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고 토로했다.
[뉴스핌 Newspim] 박미리 기자 (milpar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