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17-07-24 13:39
[뉴스핌=박미리 기자]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국내 제약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화두로 글로벌 진출, 바이오 의약품 강화, 4차 산업 등을 제시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24일 서울 방배동 제약회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한국 제약산업의 중요 과제로 위의 세 가지를 꼽으며, 향후 활동 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협회는 국내 제약사들이 정보를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나갈 방침이다. 이른바 개방형 혁신(오픈이노베이션)을 강화하는 것이다.
허경화 국제 담당 부회장은 "지난해 글로벌 제약시장은 1250조원 규모로 우리나라의 60배 정도이며, 향후 5년간 매년 4~7% 성장해 2021년이면 1700조원 규모로 커질 것으로 관측된다"면서 "이를 위해 국내 제약사들은 혁신적인 신약 개발 능력이 필요하고, 선진시장와 파머징 시장을 모두 공략하는 투트랙 전략을 갖춰야한다"고 밝혔다.이 과정에서 협회는 국내외 관련단체와 소통하고, 해외 네트워크를 구축해 제약사들에게 도움을 줄 계획이다. 허 부회장은 "제약바이오 산업은 각 나라마다 규제가 다르다"며 "산업과 정부가 국제 협력기구를 통해 정책을 개발해 국내 제약사들이 해외에 원활히 진출할 수 있도록 활주로 역할을 해줘야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강수형 바이오의약품 담당 부회장은 "아직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과도기 단계로, 모든 것을 혼자 하기는 어렵다"고 운을 뗐다. 이어 그는 "바이오벤처들도 수용해 전체가 하나될 수 있는 자리를 만드려고 한다"며 "연구개발 과정에서 위험을 줄이고, 이익은 높일 수 있도록 제약사 간 네트워크 활성화하는 환경을 조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예로 든 것이 글로벌 제약사들의 AI 도입현황이다. 배 위원에 따르면 존슨앤존슨은 베네볼렌드AI(BenevolentAI)와 임상단계에 있는 후보물질을 탐색하는 독점 라이센스 계약을 체결했다. 화이자는 IBM왓슨(IBM-Watson)과 면역항암제 신약 개발, 산텐은 twoXAR과 녹내장 신약 개발, 머크는 Atomwise와 후보물질 탐색 등을 하고 있다.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은 "고용있는 성장이 가능한 대표산업 중 하나가 제약"이라며 "대한민국 제약산업이 미래 우리 국민의 먹거리 산업이 되고, 양질의 의약품을 생산하는 산업이 될 수 있도록 협회에서는 최선을 다해 해야할 일을 열심히 하겠다"고 말했다.
협회는 올해 초부터 글로벌, 바이오, 4차산업 부문의 전문가를 잇달아 영입하면서 이 부문 경쟁력을 키우겠다는 포부를 드러냈다. 강수형 동아에스티 부회장을 바이오의약품담당 비상근 부회장으로, 브릿지바이오에서 연구개발부문을 총괄하고 있는 최주현 박사를 바이오의약품위원회 비상근 전문위원으로, ㈜아이메디신 배영우 대표이사를 R&D정책위원회 4차산업 비상근 전문위원으로 임명했다.
[뉴스핌 Newspim] 박미리 기자 (milpar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