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17-05-05 12:02
[뉴스핌=김사헌 기자] 외교부는 4일(미국 현지시각) 미국 하원 본 회의에서 찬성 419 반대 1로 새롭고 강력한 대북 제재 법안을 통과한 것에 대해 "단호한 북핵 대응 의지를 반영한 것으로 본다"고 논평했다.
또 지난 4월3일 미 하원 본회의에서 '북한 테러지원국 재지정 법안(H.R.479)'과 '북한 ICBM 개발 규탄결의안(H.Res.92)'이 각각 압도적 찬성으로 통과된 데 이어 북한에 대해 강력한 메시지를 연쇄적으로 발신한 것으로 평가했다.
이는 "북한 비핵화를 향한 국제사회의 목소리를 철저히 무시하고 있는 북한에 대해 다시 한 번 경종을 울리는 계기가 될 것이며, 북한의 비핵화에 대한 진정성 있는 태도를 이끌어 내기 위한 초석이 될 것"이라고 그는 강조했다. 외교부는 논평을 통해 "정부는 북핵·북한 문제가 미국 의회 내 초당적인 지지 하에 다루어질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미국 하원 본회의에서는 지난 3월29일 하원 외무위에서 만장일치로 통과된 바 있는 '대북 차단 및 제재 현대화법(H.R.1644)'을 압도적인 찬성으로 가결했다. 이 법안은 공화-민주 양당간 사전 협의를 거쳐 초당적으로 발의되었고, 하원 외무위 통과 후 행정부 및 의회내 관련 상임위와의 협의를 거쳐 불과 1개월여 만이라는 이례적인 속도로 본회의를 통과했다.
또한 행정부의 대북 제재 이행에 대한 의회 감독 기능 강화와 안보리 결의 불이행 국가에 대한 감시·제재를 강화하는 등 현 제재 메커니즘를 강화했다.
은행들은 계좌가 제재 대상과 거래되지 않도록 해야 하며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는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지정할지를 90일간 평가하게 된다.
이 법안을 대표 발의한 미 하원의 에드 로이스 외교위원장은 지난 2일 토론에서 “북한은 미국과 동맹국에 즉각적인 위협”이라면서 “북한 정부는 50개 주를 공격할 수 있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가지는 날로 향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법안은 앞으로 미국 상원 심의 과정을 거칠 예정으로, 상원 의결 일정은 공개되지 않았다. 상원에서 통과한 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해야 공식 발효된다.
[뉴스핌 Newspim] 김사헌 기자 (herra7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