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뉴스 newspim

[국감] 산자위, 무보에 부실 책임 추궁…"TF역할 제대로 못해"(종합)

기사등록 : 2016-10-11 18:4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무보 사장 "당시 온코퍼레이션 살펴보고 저도 울분"

[뉴스핌=장봄이 기자]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는 11일 국정감사에서 온코퍼레이션과 관련한 무역보험 부실 문제를 두고 한국무역보험공사에 대한 집중포화를 쏟아냈다. 특히 부실 가능성을 사전에 포착하지 못해 1400억원 부실을 떠안게 된 것에 대해 책임추궁이 이어졌다.

곽대훈 새누리당 의원은 이날 국감에서 “모뉴엘 사태가 발생한지 1년 반 밖에 안됐는데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했음에도 너무 안일하게 대처한 것 아니냐”며 “온코퍼레이션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해서 관련 TF(태스크포스)를 꾸린 건데 역할을 제대로 했으면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썸네일 이미지
김영학 한국무역보험공사 사장이 1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산업통상자원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답변하고 있다.<사진=뉴시스>

곽 의원은 “무보가 해당 회사에 끌려 다닌 것”이라며 “실제 손해가 1600억원 정도인데, 확보한 건 200억원 남짓이다. 이것 또한 소극적인 대처라고 생각된다”고 말했다.

같은당 김규환 의원도 “국민에게 이에 대해 한마디 한 적이 있는가. 최고 수혜자가 누군지 아냐. 결국 중국에 남는 것”이라며 “도대체 누구 좋은 기업이냐. 내 돈이 아니라고 그렇게 하시면 안 된다”고 질타했다.

김영학 무보 사장은 “2014년에 문제가 났을 때 온코퍼레이션에 대해 심도 있게 살펴보니까 저도 울분을 갖게 됐다”면서 “그 당시 들어주지 않으려고 인지했을 때 대출금을 회수하면 당장 사고가 나서 저희도 2000억원 손실을 보는 상황이었다”고 설명했다.

또한 김병관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무보의 미회수 채권이 올들어 크게 증가하고, 사고율과 손해율이 폭등하는 등 건전성 지표가 크게 증가했다"며 "지난해에도 미회수채권 규모가 크고 회수 실적이 저조해 대책을 마련하라는 지적을 받았으나 개선되지 않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날 산자위 국감에서는 무보를 포함해 코트라(KOTRA), 전기안전공사, 가스안전공사 등 6개 기관에 대한 질의도 나왔다.

홍의락 무소속 의원은 최근 갤럭시노트7 문제와 관련해 "산업 전반과 수출에 영향이 클 것 같은데 산업부에서 지침을 마련하거나 함께 회의한 적이 있느냐"고 물었다. 이에 김재홍 코트라 사장은 "그 문제만 가지고 별도로 회의를 하진 않았다"고 답했다.

야당 간사인 손금주 국민의당 의원은 가스안전공사에 "최근 바이오가스 등 충전 차량에서 연료로 인한 이물질 발생으로 안전을 위협하는 심각한 결함이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손 의원은 "그런데 이 원인을 찾고 해결할 기관이 없다"면서 "제도적 미비로 언제 폭발할지 모르는 시한폭탄 차량이 지금도 대한민국 곳곳을 누비고 있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뉴스핌 Newspim] 장봄이 기자 (bom224@newspim.com)

히든스테이지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