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15-05-29 16:16
[뉴스핌=노희준 기자] 야당이 금융당국이 추진하고 있는 총괄 서민금융 지원기관인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채무재조정(부채 탐강, 원금 상환 유예 등) 기능을 별도로 분리하는 법안을 발의한다. 야당이 가장 크게 우려하는 이른바 채무조정 기능과 대출 기능을 한 기관에 둘 때 발생할 수 있는 이해상충문제를 방지한다는 취지다.
내달 서민금융진흥원 설립 법안의 국회 원안 통과를 기대하고 야당을 줄곧 설득해 온 금융위원회 입장에 돌발 변수가 생긴 것이다.
김 의원 등 야당은 신복위의 재무조정기능이 서민금융진흥원으로 통합되고 신복위 위원장을 서민금융진흥원장이 겸임하게 되면 서민금융진흥원이 스스로 내놓은 서민금융상품의 보증이나 대출채권에 대해 제대로 채무조정을 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채권자 지위의 서민금융진흥원이 채무조정에 임하면 채무조정 과정의 공정성이 의심받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반면 금융위는 이해상충 문제는 채무재조정 위탁 변경으로 해결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서민금융진흥원 채권에 대한 채무조정은 서민금융진흥원으로 위탁하지 않고 신복위 내 민간전문가로 구성된 심의위원에서 담당하게 하면 된다"고 말했다. 특히 서민금융진흥원 채권에 대한 채무조정 비중은 신복위 채무조정 대상의 1%도 안되는 극히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여당 정무위원실 한 관계자는 "서민금융진흥원 설립은 관련 법안이 반드시 빠르게 통과돼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금융위는 2013년 9월 여러기관으로 분산돼 복잡해지고 효율성이 떨어지는 서민금융 기능을 통합해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자는 취지에서 서민금융진흥원 설립 방안을 추진해 왔다. 지난해 12월 말 관련 법안을 국회에 제출했고 올해 출범이 목표다.
[뉴스핌 Newspim] 노희준 기자 (gurazip@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