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14-03-20 04:15
[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금융시장과 투명하고 명확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동원된 연방준비제도(Fed)의 이른바 선제적 가이드가 모호한 가이드로 변질됐다.”
18~19일(현지시간) 이틀간의 회의를 마무리하고 연준이 기준금리 인상의 조건으로 제시했던 실업률 6.5%를 폐지한 데 대해 투자자들은 불만족스럽다는 반응을 쏟아냈다.
연준 의장에 오른 뒤 첫 회의를 주도한 재닛 옐런 의장에 투자자들은 비둘기파의 색채를 유지하는 한편 기준금리 인상의 시기 및 조건에 대한 힌트를 기대했다.
하지만 통화정책 향방이 오히려 종잡기 힘들어졌다는 것이 시장 전문가의 지적이다.
벤 버냉키 전 의장이 주도했던 통화정책에 비해 오히려 주관적이고 불투명한 방향으로 치닫고 있다는 지적이다.
기준금리 인상과 관련해 투자자들은 이번 회의에서 보다 명확한 힌트를 기대했으나 향후 정책 방향이 오히려 불투명해졌다는 데 입을 모으고 있다.
씨티그룹 스티븐 잉글랜더 외환 전략가는 “이날 회의 결과는 한 마디로 리스크-오프”라고 주장했다.
그는 “지표가 겨울철 혹한에 따른 파장에서 단기적으로 반등했지만 공급 측면에서는 여전히 취약한 상황인 데 반해 금리는 상승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며 “연준의 행보가 비둘기파에서 한발 멀어졌을 뿐 아니라 경제 성장에 대한 자신감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는 데 더 큰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다.
연준은 지난 2012년 말부터 제로 수준의 기준금리를 실업률이 6.5% 아래로 떨어지거나 인플레이션이 2.5%를 넘어설 때까지 유지할 것이라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이날 연준은 실업률 6.5% 조건을 폐지하고, 경제 지표를 보다 광범위한 차원에서 주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고용시장의 여건과 인플레이션 압박 및 기대치를 가늠할 수 있는 지표를 중심으로 정보를 폭넓게 수집, 분석할 것이라는 입장이다.
한편 이날 연준은 금융시장의 예상대로 양적완화(QE) 규모를 월 100억달러 축소하기로 결정했다.
[뉴스핌 Newspim] 황숙혜 기자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