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14-03-19 17:23
[뉴스핌=강소영 기자] 부동산시장 냉각과 함께 추가 기업 부도와 경기 경착륙 우려가 불거지면서 중국 정부가 부동산 시장에 대한 '측면 지원'에 나설지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와관련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2분기께 은행 지급준비율(지준율)을 인하해 시장에 자금을 공급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중국 경제에서 차지하는 부동산 산업의 비중으로 볼때 부동산 시장이 급격히 냉각될 경우 경착륙을 피할 수 없기 때문에 사전 방지 대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는 것. 2013년 기준 중국 분양주택 판매액은 8조 위안을 돌파했고, 부동산 산업이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무려 16%에 달하고 있다.
그러나 부동산 시장의 '덩치'가 큰 만큼 섣부른 조치는 부작용만 키울 수 있어, 대응책 마련을 위한 중국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시장과 전문가들은 정부가 제시할 수 있는 다양한 '카드'를 예측하며, 중국 경제의 방향 찾기에 분주한 모습이다.
◇ 지준율 인하 '최대 고민'
1분기 GDP 증가율이 7.0%초반대로 꺽일것이란 예측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중국 관영 싱크탱크인 국가정보센터(SIC)의 한 관계자는 경제 하방 속도가 더욱 빨라지면, 인민은행이 지급준비율 인하를 단행할 수 있다고 밝혔다.
장차오(姜超) 해통(海通)증권 수석연구원도 "과거 인민은행은 위안화 가치가 하락할때마다 지준율을 인하한 적이 있다"고 밝혔다.
장 연구원은 △2월 사회융자 규모가 급감 △경기와 물가상승률 하강 △ 중립긴축 통화정책에서 중립완화로 선회 △ 무역 적자와 위안화 가치 하락 등 인민은행이 지준율을 인하할 여건이 무르익었다고 분석했다.인민은행은 춘제(春節·음력 설) 이후 RP 발행을 통한 공개시장조작으로 유동성 흡수를 지속하고 있지만, 그 규모가 상대적으로 적어 간접적으로 시중에 유동성을 공급하고 있다.
시장은 최근 비교적 풍부한 시중 자금은 인민은행의 통화정책 변화에 따른 효과로 보고있다. 천룽(陳龍) 둥관(東莞)은행 금융시장 분석가는 "인민은행의 통화정책은 긴축편향에서 완화로 바뀌었으며, 앞으로 이같은 정책 기조는 한동안 유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 리파이낸싱 자금조달에 '숨통'
성장 둔화의 '된서리'를 맞고 있는 부동산 업계는 정부가 정상적인 기업들의 자금 조달활동을 지원할 수 있다는 소식에 반색하고 있다.
19일 중국 21세기경제보도(21世紀經濟報道)에 따르면,중국 증권관리감독회(증감회)는 최근 두 차례에 걸쳐 부동산 상장기업과 리파이낸싱(재융자) 방안을 협의했다.
지난 2010년 8월 이후 증감회가 부동산 업체의 중국 본토 내 직접융자 경로를 사실상 차단하고, A주 우회상장 요건을 대폭 강화했다. 이런 상황에서 증감회가 뤼디그룹의 A주 우회상장을 허용해 중국 당국이 방침을 부동산 기업의 자금 융자를 간접적으로 지원하는 쪽으로 선회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는 것.
관련 업계에서는 증감회가 앞으로 부동산 기업 자산 구조조정·리파이낸싱 및 A주 상장 등을 다시 허용할 수 있다는 전망도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정위제(鄭宇㓗) 중국국제금융공사(CICC) 수석연구원은 "부동산 가격 하락 조짐이 나타나고, 부동산 기업의 유동성 경색이 심각해지고 있는 이 때 증감회가 뤼디그룹의 A주 우회상장을 허용한 것은 정책적인 '방향성'을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그는 "부동산 상장기업이 A주에서 리파이낸싱을 추진하는 것은 아직 허용되지 않았지만, 자산 구조조정 제한조치는 이미 풀린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CICC 이외에 다른 기관 역시 증감회가 부동산 기업에 대한 일부 규제를 완화하기 시작했다고 분석했다.
부동산 기업의 융자 규제 완화에 대한 시장의 전망이 엇갈린 가운데, 국토부와 증감회에서 오랜 기간 증자계획안 심사를 받고있는 부동산 기업 자오상디찬(招商地産)에 대한 심사 결과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자오상디찬의 증자 허용 여부는 정부 당국의 부동산 기업 융자에 대한 정책의 방향성을 판가름 할 수 있는 기준이 될 것으로 받아들여지기 때문이다.
자오상디찬은 18일 투자설명회를 개최하고, 자사의 증자안에 대한 결과가 조만간 발표될 것이라고 밝혔다. 자오상디찬의 증자가 허용되면, 40여개 상장기업의 리파이낸싱도 순차적으로 허용될 전망이다.
[뉴스핌 Newspim] 강소영 기자 (jsy@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