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12-04-10 08:40
[뉴스핌=이영기 기자] 부진한 미국의 3월 고용증가가 최근 부각하고 있는 미국의 조기 금리인상 논의를 약화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위기 이후 미국의 고용시장 정상화는 40%에 불과하고, 장기실업 증가, 실망실업자들의 고용시장 이탈현상 등 구조적인 결함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10일 KB투자증권은 "현재 美실업률은 8.2%, 핵심소비지출 증가율 1.8%임을 감안한 테일러 준칙금리는 0.50%로 연준의 목표금리를 상회"한다며 "하지만 실망실업자를 감안한 테일러 준칙금리는 0.0%에 머물러 있다"고 분석했다.
이같은 분석 결과는 금리인상의 논의 자체를 허무는 것이므로 최근 고개를 들고 있는 조기 금리 인상에 대한 근거가 부족하다는 주장이다.
미국 가계의 비근로 소득증가가 부진한 상태에서 소득 및 소비여건의 고용시장 의존도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벤 버냉키를 포함한 연준의 통화정책 결정의 핵심인사들은 미국 고용이 양적, 질적으로 부족한 상태임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다.
임동민 이코노미스트는 "3월 미국 고용시장은 특히 금융/건설/IT/정부 등의 구조조정 영향이 큰 분야의 회복이 미진한 상태이다"고 평가하며 "금융위기 이후 미국의 고용시장 정상화 수준이 40%에 불과한 상황에서 고용증가 폭 둔화는 우려사항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가계저축률은 3.7%로 금융위기 이후 처음 4% 미만으로 하락해, 미국의 가계소득원천에서 노동소득의 중요성을 감안하면, 근래 소비증가도 일시적일 것이라는 우려를 낳게 한다.
▶ 주식투자로 돈좀 벌고 계십니까?
▶ 글로벌 투자시대의 프리미엄 마켓정보 “뉴스핌 골드 클럽”
[뉴스핌 Newspim] 이영기 기자 (007@newspim.com)